본문 바로가기

미국여행기

팁 문화



    팁 문화


    동생과 외식을 하면서 팁이 15%로 인상된 것을 알았다.
    2002년 가을 동유럽을 여행하면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도
    팁을 10%주었는데 미국은 언제부터 올랐느냐고 물었더니
    4년 정도 된것 같다고 한다.제수씨에게 미용실에서 머리나
    손톱을 치장할 때는 얼마나 주느냐고 물어보았더니 20~40%
    까지 주는 여자도 있다고 한다.
    미국이 1998년 경에 최고의 호황이었던 같다며 그 이후로
    돈 많이 번 분들이 팁을 올려서 주기 시작한 것이 정착이
    된 것 같다고 한다.

    1988년도 88올림픽을 개최하였을 때가 한국의 최고 성장
    호황기 였다면 미국은 IT선진국으로 IT경기가 선도하면서
    최고의 호황기를 마지한 것으로 추측이된다.

    10년간 성장을 지속한 미국경제가 튼튼한 뿌리를 내렸으며
    IT분야에서 큰 부자들이 많이 탄생하여 빈부의 격차도
    벌어진 반면 팁에 의한 작은 소득재분배로 시작하여
    빌 게이츠는 번돈의 50%를 기부하는 등 기부금액의 확대로
    국민들의 소득이 비교적 균등하게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.

    동생의 말에 의하면 흑인이 주고객인 가발의 상권을
    한국인 들이 쥐고 있는 데 98년호황 때 가발로 큰 돈을 번
    한국인들이 많다고 한다.흑인들에게는 가발이 필수품이
    되었으며 흑인의 소득이 늘어날 수록 가발판매가 늘어난다고
    한다. IT호황으로 흑인들도 호황에 동참하였다는 것은
    소득분배가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는 증거이다.

    팁문화는 나눔의 문화다. 동양인 들에게는 서양을 여행할 때
    아주 거추장스럽고 신경쓰이는 것이 팁이다. 나자신도
    왜 이렇게 거추장 스러운 제도가 서양에서 생겼을가 의아하게
    생각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.

    그러나 익숙해지고 난 지금에는 부자들이 육체노동으로
   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가난한 분들에게 부를
    나누어 주는 아주 좋은 제도라고 생각을 바꾸게 되었다.

    팁문화는 그 만큼 성숙된 문화다. 인간은 상부상조하며
    살아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다. 팁은 상부상조의 기초가
    되는 행위다.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이 이루어질 수 있는
    것이지 처음부터 큰 것을 실천에 옮기는 것은 아주 어려운
    일이므로 일우어지지 않을 수 도 있다.
    팁이 몸에 배면 상부상조가 아주 쉽게 실천에 옮겨질 수 있다.

    팁이 부담스러운 사람을 위하여 셀프서비스제도가
    확대되고 있다. 고속도로 휴게소나 공원의 식당 등은 거의
    다 셀프서비스다. 자판기 부페식당 등도 편의시설이며
    제도이지만 팁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을 위한 시설이며
    제도라고 볼 수도 있다. 균형적인 발전이 필요하다.

    동양에서도 서양처럼 부자들이 합리적으로 소득재분배를
    할 수 있는 팁제도의 도입과 정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.